본문 바로가기
국내이슈

깡통전세 피하는 방법

by 꼬부기22 2023. 4. 23.
반응형

깡통전세 피하는 방법

월세만큼은 아니지만 전세 사시는 분들이 많으시죠.

요즘 깡통전세로 인해 삶이 무너지고 생을 마감하는 뉴스까지 접하고 있는데요.

전제 세입자분들이 알아두셔야 할 유용한 정보인 전세보증보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깡통전세 피하는 방법

전세사기 현황

전세값이 아파트 매매값과 거의 차이가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많은데요

요즘 깡통주택부터 주택시장, 아파트가격 폭락 등 부동산에 대한 다 향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전세 역시 내집이 아닌 타인의 집에 입주해서 사는 형태임에도 본인의 자금 100%로 사는 경우가 별로 없고 은행자금을 빌려서 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소중한 전세자금을 깡통전세로 인해 모두 잃게 된다면 절망을 넘어 희망을 모두 잃게 될 것입니다.

이런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가 전세자금보증제도입니다.

 

전세자금보증제도란?

전세자금보증제도란 다른 금융기관, 보증기관에서 책임을 져 주는 제도로 보증보험을 지급하는 곳은 주택도시보증공사와 서울보증보험 두 곳이 있습니다.

이 두 곳의 차이는 요율의 차이입니다.

아무래도 공공기관인 대한주택보증 공사의 요율이 더 적고, 서울보증보험의 요율이 조금 더 높습니다.

아파트 기타 다세대

서울보증보험 연간 0.192%
주택도시보증공사 연간 0.128%

서울보증보험 연간 0.218%
주택도시보증공사 연간 0.154%

 

전세자금보증제도 요율

만약 전세자금이 3억이라고 한다면 요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 3억 아파트 전세 보험료

- 서울보증보험
576,000  x 2년 = 1,152.000원

- 주택도시보증공사
 384,000 x 2년 = 768,000원

서민에게는 부담스러울수도 있는 금액이긴 하지만 그래도 수천, 수억의 전세자금을 지킬 수 있다면 이 정도 안전장치는 해두시는 게 좋지 않을까요?

과거에는 집주인이 동의를 해주지 않으면 보증보험을 가입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집주인에게 물어보지 않아도 보증보검 지급기관에 가셔서 상담을 받으신 후 그곳에서 요청하는 서류를 준비하시면 가입이 가능합니다.

 

전세보증보험 가입 시 필요한 서류

1. 보증신청서
2. 주민등록등본 및 신분증 사본(개인)
    사업자등록증 사본 (개인사업자)
    법인등기부 등본(법인)
3. 확정일자부 전제계약서 사본
4. 전세보증금 수령 및 지급 확인 서류
   (계좌이체내역서, 무통장입금증, 공인중개사 발급 영수증, 임대인이 확인한 영수증 증)
5. 부동산등기부등본 및 전입세대열람내역
6. 건축물대장 (단독, 다가구 주택인 경우)
7. 개인정보제공동의서
8. 전세보증금반환보증 확약서
9. 전세목적물에 대한 타 전세계약체결내역 확인서
   (단독, 다가구 주택인 경우)
10. 그 외 필요 시에 인감증명서 및 기타 추가 서류 등

 

전세보증보험 가입 자격조건

- 주택의 인도와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를 받을 것
- 보증대상 주택의 건물과 토지는 모두 동일 임대인의 소유일 것
(공공택지로서 지적미정리로 대지권 미등기인 경우 보증가능)
- 진인신고를 마치고 전세계약서상 확정일자 취득
- 대상주택에 대한 소유권 권리 침해가 없을 것
  (경매시넝, 압류, 가압류, 가처분 및 가등기 등)
- 전입세대열람내역 확인 결과 타 세대의 전입내역이 없을 것
- 선순위 채권이 없을 것
- 1년 이상의 전세계약기간

 

 

전세인에게 꼭 필요한 전세보증보험을 가입하는 방법과 절차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귀찮은 과정일 수 있겠지만 전세를 계약할 계획이 있으시다면 소중한 전세자금을 지키기 위해서 미리 알아보시는 편이 좋을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