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이슈

주식배당금 받는 방법과 세금 그리고 지급일

by 꼬부기22 2023. 4. 6.
반응형

주식배당금 지급받는 방법을 잘 몰라서 시도를 해보지 못한 분들이 꽤 있으실 거라 생각합니다.

주식배당금이 무엇인지, 어떻게 받는 건지, 세금은 어느 정도인지 등 주식배당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니다.

 

주식배당금

 

1. 주식배당금이란?

내가 주식으로 투자한 기업이 이익의 일부를 주주들에게 현금으로 돌려주는 것을 말합니다.

배당금 지급을 하는 기업은 그만큼 성장을 하고 있고, 주주들에게  그 이익을 나눠줌으로써 의미 있는 현금을 만들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일부 투자자들은 배당금 지급 여부를 가지고 투자의 기준으로 삼기도 합니다.

반응형

2. 배당기준일

배당을 실시할 때, 배당을 받을 사람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날입니다.

배당기준일은 겨리산기준일 또는 중간배당 실시 여부에 따라 다르긴 하나, 일반적으로 매년말을 기준일로 합니다.

 

3. 주식 배당금 받는 방법

 ① 배당 기준일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을 것

  주식배당기준일은 주식배당 자격을 주기 위해 공식적으로 정해진 날짜입니다.

  주식배당금을 받기 위해서는 배당 기준일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주식은 실제 결제까지 평일 기준으로 2일가량 소요가 되기 때문에 배당 기준일로부터 2 영업일 전에 매수를 완료해야만 배당기준일에 주식을 보유할 수 있게 됩니다. 

 단, 매수완료가 평일 기준 2일가량 소요가 되니, 주말이나 공휴일이 끼는 날은 그 날짜 만큼 생각하셔서 매수를 완료하셔야 합니다.

 

 ② 배당락일 이후 주식 매도

 배당락일이란 배당을 지급하기로 공시할 때 명시되는 날짜입니다.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주식 매수 후 소유하는데까지 2일이 소유가 되기 때문에, 배당락일에 주식을 사게 되면 투자자는 배당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 

반대로 배당락일에 주식을 매각을 한다면, 배당기준일에는 주식을 보유한다고 인정되기 때문에 배당금이 지급됩니다.

 

4. 주식배당금 지급일 확인하는 방법

 - 주식배당 기준일은 보통 연말 폐장일로 확정이 됩니다.

 - 주주총회 및 배당 공시는 다음 해 1분기 말인 3월에 이루어집니다.

 - 배당금 지급은 공시 이후 한달 이내로 다음 해 4월 중순 경 지급이 됩니다.

 

5. 주식배당금 세금

 주식배당금 역시 소득으로 인정되기 때문에 세금(종합소득세)이 발생합니다.

 

① 주식배당금이 2,000만원 이하일 경우

주식 배당금은 일반소득세 14%와 지방소득세 1.4%를 합한 15.4%입니다.

 

② 주식배당금이 2,000만원 초과할 경우

주식배당금이 2,000만원을 넘으면 과세표준세율에 의거해 초과분에 대해 지방세를 포함한 6.6~49.5%의 누진세율을 적용하여 초과세금을 내는 금융소득종합과세가 적용됩니다.

이 말은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면 은행이자나 배당과 같은 금융소득과 근로나 사업으로 발생되는 다른 소득을 합산해 누진세율이 적용된다는 뜻입니다.

(종합소득 = 근로소득+이자소득+배당소득+사업소득+연금소득+기타소득)

 

 

6. 배당소득 해당이 되는 해

 배당소득은 결의일(배당이 결정되는 날)에 따라 어느 해의 소득이 될지 결정이 되며, 정기배당의 경우 주주총회에서 배당결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부분의 주주총회 날짜가 소득의 해를 결정짓게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