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이슈

엠폭스(원숭이두창) 원인과 증상, 예방과 치료방법

by 꼬부기22 2023. 4. 13.
반응형

엠폭스(원숭이두창) 원인과 증상, 예방과 치료방법

 

엠폭스는 원숭이두창이 변경된 이름입니다.

1958년 실험실 사육 원숭이에게서 처음 발견되고, 1970년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인체감염 첫 사례가 보고 되었습니다.

어제(12일) 우리나라에서도 8번째까지 감염자가 발생했다는 보고와 함께 현재 법정감염병 2급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원숭이두창(엠폭스)

엠폭스 원인

- 엠폭스에 감염된 동물 또는 사람으로부터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질 접촉 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산모의 태반을 통하 모체수직감염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코, 비강, 점막 등 비말에 의해 감염이 될 수 있습니다.

- 체액, 혈액, 피부, 성관계로 인한 신체접촉 시에 감염될 수 있습니다.

 

엠폭스는 중앙아프리카와 서부아프리카의 농촌 열대우림 지역의 풍토병으로 발생했는데 2022년 5월 이후로 유럽북미지역으로 확대되어 발생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엠폭스 증상

- 일반적으로 발열, 오한, 림프절 부종, 피로, 근육통 및 요통, 두통, 호흡기 증상(인후통, 코막힘, 기침) 등을 시작됩니다.

- 발열등의 증상이 나타난 뒤 보통 1~4일 후에 발진이 나타납니다.

- 발진은 얼굴, 입, 손, 발, 가슴, 항문생식기 근처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엠폭스 예방 및 행동수칙

①엠폭스 예방수칙

- 손씻기 등 개인적인 위생수칙준수

 (의심증상자 접촉 후 비누와 물 사용 손씻기 또는 알콜 성분 손 소독제 사용

- 오염된 손으로 눈, 코, 입 등 점막 부위 접촉 삼가

- 엠폭스 의심증상자와 피부병변(발진이나 딱지 등) 접촉 삼가

- 엠폭스 의심증상자 사용물품(침구류, 수건, 의복, 세면대 등) 접촉 삼가

- 엠폭스 의심증상자와 부득이한 접촉 시 절절한 개인보호구 착용

- 아프거나 죽은 동물과의 직접 접촉 및 사용물품 주의

- 아프리카 수입 야생동물 및 반려동물 접촉 주의

 

②엠폭스 의심증상(발진 등) 발생 시 행동요령

- 실거주지 관할 보건소로 즉시 신고하여 방역 당국의 조치사항 안내에 따름

- 원숭이두창 평가 전까지 동거인을 비롯한 주위사람들과 접촉삼가

 (침구, 식기, 컵 등 물품을 별도로 사용하고 가능하면 생활공간을 분리)

- 철저한 손위생 및 가족, 동거인 등 보호하기 위해 개인보호구 사용

 (피부병변을 긴 소매 및 바지 등으로 감싸 노출 최소화, 마스크 착용, 일회용 장갑 사용)

- 의심증상자의 쓰레기 및 침구는 별도로 분리하여 관리

 (확진되면 쓰레기는 폐기물로 별도 분리 배출하고 침구도 별도 세탁 시행)

- 애완동물을 포함한 기타 동물과의 접촉 삼가

 

엠폭스 발생지역 방문자의 예방 및 행동수칙

①엠폭스 발생지역 방문 시 주의사항

 - 방문 전, 엠폭스 풍토병 지역 및 발생지역 확인

 - 설치류(다람쥐 등), 영장류 등 접촉 삼가

 - 동물사체 및 야생고기를 다루거나 먹지 않기

 - 엠폭스 (의심)환자와 접촉 삼가 

 - 엠폭스 의심증상(발진 등)을 가진 사람의 물건 등과 접촉 삼가

 

②엠폭스 발생지역 방문 후 주의사항

 - 귀국 후 검역 시 검역관에게 건강상태질문서 제출

 - 귀국 후 21일간 발열 및 기타 관련 증상을 자가 모니터링

 

 엠폭스 치료방

특별히 상용화된 치료제는 없으며, 대증치료를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엠폭스 감염자는 다른 사람에게 감염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격리되어 치료를 합니다.

 

※ 대증치료 : 병의 원인을 찾아 없애기 곤란한 상황에서 겉으로 나타난 병의 증상에 대응하여 처치를 하는 치료법을 말합니다. 예) 열이 높을 때 얼음주머니를 대거나 해열제를 써서 열을 내리게 하는 행위

 

반응형